哭, 아이고 아이고! ㅡ 1960년대 내가 열 살 무렵 상갓집 가시는 조부는 곰방대 털어 놋재떨이에 반듯하게 올려놓고 거울 앞에 앉아 긴 수염을 가위로 다듬고는 두루마기 곱게 펴 제대로 차려 입고 "입성 잘 차려 입어라 강대골(양녕대군 묘지 동네 상도동) 김 씨댁 문상 가야 하니" 짚세기 사잣밥에 조등이 걸린 대문 들어 문상객 접대 술상들로 시끌시끌한 마당을 지나 대청마루 올라 굴건제복의 상주가 지키는 상청에 향 올리고 절하는 조부는 아이고 아이고! 상주 따라 곡을 하고 나 역시 아이고 아이고! 합창을 했다 술 한 방울도 입에 안 대는 조부는 떡에 돼지고기 몇 점으로 문상객들과 담소한 후 내 손을 잡고 귀가하면서 구성지게 곡을 따라하는 손자가 신통해서인지 "잘 했다, 문상할 때는 꼭 그렇게 곡을 해야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