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읽기 전에 『生子 이생진 시인』에 관해 잠깐 언급하고 들어가자. 일제강점기 1929년 태어나 전쟁을 겪고 1955년 교직에 있으면서 등사판을 갈아 철사로 꿰매어 낸 첫 시집 『산토끼』이래 39권의 시집과 다수의 수필 시화집을 출간해 오고 있으며 제주도 올레 1길 성산포 오정개 해안에는 이생진 시비 거리가 있다. 아흔이 넘어선 지금까지〈詩〉라는 화두를 끈질기게 붙들고 계신 「生子」는 시인이라면 시인이고 하루 15000보를 걷는 도인이라면 도인이다. 「이생진」이라는 이름 보다 「生子」라는 호칭에 행복해 하신다. 『生子論』 공자 맹자의 사상을 집대성하여 주자는 南宋의 성리학을 퇴계 이황은 조선의 성리학을 구축했다 후학들은 퇴계를 「李子」라 했다 500여 년이란 세월이 흐른 21세기 컴퓨터로 시를 쓰고 붓..